40세 이상 중장년이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00세 시대!
과거에는 경제활동 기간이 1번이었다면 100세 시대인 요즈음 많이 달라졌습니다.
기대수명이 길어진 만큼 인생2막! 제2의 경제활동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중장년이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은 어떤 것이 있는지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중장년이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 중에 나에게 맞는 자격증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같이 알아보고 흥미 있는 자격증을 찾으셨다면, 상담 받아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자격증은 중장년이 재취업을 희망하는 분들이 가장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사회복지사 관련 과목 이수와 현장실습을 하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중장년층의 경우 인생 경험을 살리면, 상담과 복지 업무에 강점이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온라인으로 취득이 가능하며, 다양한 사회시설 및 기관에서 근무가 가능하므로 재취업에 매우 유리한 자격증이라고 생각됩니다. 각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알아보실 수 있으며, 무료로 상담이 가능하니 지금 바로 취득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요양보호사
40대 이상 중장년이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으로는 요양보호사가 있습니다. 노령화시대로 수요가 많아져서 요즘 제일 인기가 많은 자격증 중에 하나 입니다.
요양보호사교육원에서 교육을 이수한 후 자격시험에 합격하시면 취득이 가능합니다.
교육과정은 총 320시간으로 이론,실기,실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올해부터 치매전문교육이 80시간 추가되어 기존 240시간에서 320시간으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요양보호사는 국비지원도 가능한 자격증입니다. 내일배움카드를 통해 소득수준에 따라 최대 100%까지 가능하니 지금 바로 취득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노인미술심리상담사
중장년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 중 인기있는 자격증인 노인미술심리상담사입니다.
'폭싹속았수다'에서 애순이가 요양원에서 그림 수업 하신 걸 보셨나요?
국가 공식 자격증인 노인미술심리상담사를 취득하시면 미술을 통해 어르신들과 소통하면서 정서적 안정 및 즐거운 일상을 드릴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수강 후 온라인 시험으로 자격증이 취득 가능합니다. 교육원을 통해 교안 및 기출문제 등을 자유롭게 받아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관심이 있으시면 무료로 상담 및 수업이 가능하니 지금 바로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전기기능사
40세 이상 중장년이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 중 인기가 많은 전기기능사 자격증입니다.
내일배움카드를 통해 100% 국비지원이 가능한 자격증이기도 해서 인기가 많습니다.
전기기능사는 전기설비의 시공,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인력을 인증하는 국가자격증 입니다.
필기(객관식), 실기(작업형) 시험으로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데요, 무엇보다 실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혼자 하실 수도 있지만, 보다 전문적인 기관과의 상담을 통해 자격증 취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방과후아동지도사
중장년이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에는 방과후아동지도사 자격증이 있습니다.
방과후아동지도사는 방과후에 돌봄과 교육이 필요한 아동들을 보육하고 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평소 아이들을 좋아하고 관심이 있으신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국제자격검정원 등 다양한 교육원을 통해 무료로 수강이 가능하니 관심이 있으시다면 상담받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국제자격검정원
국제자격검정원 ◈무료수강 이벤트◈ 퍼스트브랜드대상 수상.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정식등록. 심리상담 및 교육지도, 전문실무분야 자격증
www.ili.or.kr
지금까지 40세 이상 중장년이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흥미가 생긴 자격증이 있다면, 지금 바로 알아보고 자격증 취득을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자격증을 취득하여 제2의 경제활동을 즐겁게 지내시기 바랍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똑똑! 수학탐험대-교육부가 만든 AI 수학 게임처럼 해봐요(무료학습지있음) (0) | 2025.04.28 |
---|---|
AI 학습 시스템 도입, 우리 아이에게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0) | 2025.04.23 |
고교학점제 - 과목 선택 어떻게 해야 하지? (0) | 2025.04.23 |
2025년 교육정책 총정리 - 학교가 달라진다 (0) | 2025.04.22 |